메이플스토리 사냥 티어표 2025: 제자리 사냥 1티어부터 무자본 추천 직업까지
2025년 8월 25일 · by 게임교수
메이플스토리 사냥 티어표 2025: 기준부터 깔고 갑니다
“사냥이 편해야 메린이도 행복합니다.” 티어 얘기 나오면 보스 기준이냐, 사냥 기준이냐 매번 싸움 나죠? 저는 다음 네 가지를 가중치로 잡았습니다. 왜 이렇게 하냐고요? 경험상 이 조합이 피로도 대비 레벨링 속도를 가장 잘 설명했거든요. 여러분도 고개 끄덕이실걸요?
- 맵 커버리지: 한 바퀴 도는 동안 ‘빈 칸’ 없이 긁는가
- 제자리 사냥 능력: 발판/텔포 없는 맵에서도 손가락에 평화가 오는가
- 쿨 회전·설치기: 보스용 극딜기 말고, 사냥에서 ‘계속 켜져 있는 힘’이 있는가
- 피로도: 손과 두뇌가 덜 타는가, 특히 장시간 사냥에서
참고로, 커뮤니티(디시·인벤) 체감, 보스 기준 티어, 8.3 챌린지 고점 같은 외부 데이터도 훑어봤습니다. 다만 오늘은 “사냥”에 무게를 뒀어요. 보스 순위랑 다르면 왜 다르냐고요? 사냥은 맵 구조 + 유효 타수 게임이라서 그렇습니다. 딜찍누만으론 안 풀립니다, 정말로.
TL;DR 티어표: 사냥 기준 직업 순위 요약
한눈에 보고 싶은 분들을 위한 요약판입니다. “내 직업 어디 갔냐”라고 버럭하기 전에, 밑의 상세 설명도 꼭 읽어주세요. 반전 많습니다.
티어 | 직업 | 한 줄 설명 |
---|---|---|
SS | 메르세데스, 아크메이지(썬,콜), 에반, 일리움, 카데나, 칼리, 아크메이지(불,독), 호영 | 맵 커버·제자리·설치기 3박자. 손 편하고 속도 빠름 |
S | 제로, 윈드브레이커, 제논, 아크, 카이저, 보우마스터, 데몬어벤져, 팬텀 | 장판·연계 최적화하면 SS 못지않은 효율 |
A | 섀도어, 바이퍼, 블래스터, 다크나이트, 아델, 카인, 배틀메이지, 히어로 | 사냥 피로도 관리가 관건. 맵빨 좀 탑니다 |
B | 아크메이지(썬,콜) 변형 트리, 아란, 신궁, 나이트워커, 스트라이커, 루미너스, 비숍 | 쓸만하지만 대체직업 많음. 취향 타요 |
C | 엔젤릭버스터, 캡틴, 캐논슈터, 와일드헌터, 패스파인더, 플레임위자드, 데몬슬레이어, 라라, 키네시스, 미하일, 은월 | 구조적 한계 또는 피로도 폭탄. 애정으로 버팁니다 |
작게 보이면 억울하죠. 저도 써봤고, 그래서 왜 그런지 설명합니다. “돌려 말하지 않겠습니다.” 때로는 직설이 약입니다.
SS 티어 직업 추천: 내가 왜 이 직업들에 무릎을 꿇었나
“아니, 진짜 이렇게 편해도 되냐?” 싶었던 직업들. 제자리 사냥 1티어 궁금하셨죠?
메르세데스 — 링크만 보고 왔다가 눌러앉은 케이스
- 왜 추천: 광역기들의 회전이 빠르고, 맵 커버리지가 넓어요. 이동기 체감도 최상. 제자리 사냥에서 몹 몰림이 깔끔해 손에 부담이 적습니다.
- 실전 루트: 평지 두 줄 맵에서 스파이럴 + 이슈타르 끊어치기 루틴이면 몹이 사라집니다. “내가 사냥하는 건지 몹이 도망가는 건지?”
- 함정: 초반 세팅이 안 되면 손이 바빠보입니다. 근데 익숙해지면 오히려 ‘졸림 주의’.
아크메이지(썬,콜) — 제자리 1티어의 상징
- 왜 추천: 설치기 + 다타수 + 둠스데이 스타일의 순환. “나 여기 서 있을게, 몹은 알아서 와라.”가 가능한 구조.
- 팁: 텔포 비주얼이 지루할 수 있어요. 그럴 땐 주기적으로 설치기 각도만 살짝 바꾸면 체감 속도가 올라갑니다.
- 반전: 보스 기준 순위랑 헷갈리지 마세요. 사냥에선 진짜 깡패입니다.
에반 — ‘룬 타이밍’ 맞추는 맛
- 왜 추천: 드래곤 설치기와 지속딜이 겹치면서 맵이 비질 않아요. 특히 평지·굴곡 혼합 맵에서 강함.
- 실수담: 링크 켜는 걸 잊고 30분 사냥했는데도 경험치가 잘 오르더군요. “아, 이게 구조의 힘이구나.”
일리움 — 필드 컨트롤의 끝
- 왜 추천: 크리스탈 위치 잡는 법만 익히면 그때부터 맵이 미술 시간 됩니다. ‘예술 사냥’ 가능.
- 경고: 초반 진입장벽이 있어요. 하지만 익숙해지면 손이 제일 덜 아픕니다.
카데나/칼리 — 손이 바쁘지만 체감속도는 미친다
- 왜 추천: 연계 성공률이 오를수록 사냥 속도는 눈에 띄게 빨라져요. 특히 칼리는 최근 상향으로 체감이 크게 좋아졌습니다.
- 질문: “힘든데 재미있어야 한다?” 이쪽 계열이 딱 그렇습니다.
아크메이지(불,독) — 범위와 타수의 무서움
- 왜 추천: 넓게 깔고, 오래 남기고, 계속 태웁니다. 평지부터 3층 맵까지 만능형.
- 단점: 쿨 관리 못 하면 별맛 안 납니다. 타이머 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호영 — 기동력·범위·설치, 막내온탑
- 왜 추천: 사냥만 놓고 보면 이만큼 ‘맵이 녹아내리는’ 직업도 드뭅니다. 손이 바쁜 편이지만 결실이 확실해요.
S 티어: 보스 겸업도 되고, 사냥도 되는 ‘밸런스형’ 직업
“하루에 보스 30분, 사냥 2시간” 루틴이면 이 라인업이 꿀입니다. 추천 이유가 분명해요.
- 제로: 태그 딜만 익숙해지면 맵 장악력이 장난 아닙니다. 초행자에겐 어질어질할 수 있으니, 한 맵 붙박이 연습 추천.
- 윈드브레이커: 빠르고 시원합니다. 제자리 사냥에서도 그라비티처럼 계속 감싸는 느낌. 저빈도 키워드지만 절대 저평가 아님.
- 제논: 유틸 좋은 전천후. 피로도 낮고, 동선이 깔끔. 장기전 사냥에 강함.
- 아크: 연계 난이도는 있지만, 익숙해지는 순간 맵이 자동 청소. 다만 과몰입 주의.
- 카이저: 변신 타이밍에 사냥 템포가 확 오릅니다. 변신 시간 관리가 생명.
- 보우마스터: 이름이 ‘마스터’인 이유가 있죠. 광역은 부족해 보여도, 직선 맵을 만나면 능률 몰빵.
- 데몬어벤져: 무자본·저자본 사냥러의 친구. HP 기반이라 세팅 부담이 낮습니다. 데몬 계열 중 사냥 스트레스가 가장 적어요.
- 팬텀: 스킬 커스터마이징으로 맵 맞춤화가 됩니다. ‘설명’서처럼 고급자일수록 더 잘 뽑음.
A/B/C 티어: 왜 낮게 봤는지 솔직 설명
“내 본캐 왜 여기예요?” 서운할 수 있죠. 하지만 사냥 기준에선 이렇게 보입니다.
-
A 티어
- 섀도어·바이퍼·블래스터: 근접 연계형의 숙명. 손이 고급지고 맵빨을 많이 탑니다. 숙련되면 확 살아나요.
- 다크나이트·아델·카인·배틀메이지·히어로: 나쁘지 않은데, SS/S 대비 ‘자동화’가 덜합니다. 특히 히어로는 피로도가 은근히 와요.
-
B 티어
- 아란·나이트워커·스트라이커·루미너스·비숍·신궁: 특정 맵에서 빛나지만 범용성은 아쉬움. ‘아란’은 콤보 유지 피로도가 변수.
- 아크메이지(썬,콜) 변형 트리: 운영 미숙 시 효율이 급감. 트리 안정화가 먼저.
-
C 티어
- 엔젤릭버스터·캡틴·캐논슈터·와일드헌터(레지스탕스)·패스파인더·플레임위자드·데몬슬레이어·라라·키네시스·미하일·은월:
- 공통: 구조적 딜레이, 쿨 의존, 또는 조작 난도가 사냥 템포를 끊습니다. 애정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하지만, 티어표는 냉정하게 ‘누가 더 편한가’의 문제.
- 엔젤릭버스터·캡틴·캐논슈터·와일드헌터(레지스탕스)·패스파인더·플레임위자드·데몬슬레이어·라라·키네시스·미하일·은월:
“돌려 말할까 했는데” 그냥 직설로. 사냥은 결국 ‘누가 덜 움직이고 많이 잡는가’의 싸움입니다.
제자리 사냥 1티어: 손 편한 루틴 공개
“메이플 제자리 사냥 1티어 누구?” 질문 많아서 별도 섹션으로 뺐습니다.
- 아크메이지(썬,콜): 설치기 → 텔포 캔슬 → 유지기 순환. 발판 없어도 몹이 녹습니다.
- 메르세데스: 고정 포인트 + 이슈타르 끊어치기. 평지 2줄 맵에서 압도적.
- 에반: 설치기 중앙 유지 + 좌우 스킬로 사이드컷. 제자리 유지력 TOP.
- 일리움: 크리스탈 고정 위치 세팅 후 원거리 유도. 손 정말 편합니다.
- 윈드브레이커: 지속 실드/바람길 활용해 제자리 유지. ‘움직이는 제자리’ 감각이지만, 손목은 여전히 편함.
제자리 사냥은 숫자보다 ‘루틴’이 승부. 아래는 제가 쓰는 키 세팅 예시입니다.
[핫키 예시 - 사냥용]
Q: 설치기 / W: 광역1 / E: 광역2 / R: 이동기
A: 유지기1 / S: 유지기2 / D: 보조기 / F: 힐/유틸
Space: 점프 / Shift: 텔포/회피
이대로만 하라는 건 아니고요. 핵심은 설치기와 유지기를 좌/우 손가락이 엇갈리지 않게 배치하는 것. 피로도가 절반으로 줄어요.
무자본/저자본 추천: 장비 부담 없이 ‘순위’ 올리는 법
- 데몬어벤져: HP 세팅으로 초반 투자 부담이 낮습니다. 사냥 속도도 괜찮고 생존이 편해서 장시간 사냥에 좋아요.
- 배틀메이지(레지스탕스): 오라·호문쿨루스 운영만 익히면 사냥이 깔끔. 레지스탕스 링크/유니온 시너지도 달달합니다. 와일드헌터·메카닉과 같이 키우면 계열 보너스가 체감돼요.
- 메르세데스: 링크가 성장에 좋고, 본캐/부캐 모두 값어치를 합니다. 무자본이 ‘시간으로 메우기’에 최적.
- 아란: 초반은 피곤하지만, 콤보 타이밍이 잡히면 의외로 편합니다. 단, 호불호가 심함.
- 윈드브레이커: 세팅 요구치가 낮은 편이고, 사냥 피로가 덜해요. “조용히 잘 오르는” 스타일.
“장비 없다고 사냥이 괴롭다?” 직업 선택으로 커버됩니다. 놀랍게도 많이들 체감 못 하는 포인트.
커뮤니티(디시·인벤)와 실전의 간극: 왜 내 느낌이랑 다르지?
- 보스 기준 티어가 높은 직업이 사냥에서도 높을 거라 생각하기 쉽죠. 하지만 챌린지/허수아비 기록은 ‘고점’의 세계고, 사냥은 ‘지속가능한 평균’의 싸움입니다.
- 예: 카데나는 보스·사냥 모두 체감 고점이 높은 편이지만, 손이 바쁘다는 단점이 있어요. 반면 메르세데스는 더 ‘편안한 속도’를 줍니다. 둘 다 빠르지만 성질이 달라요.
- 또 예: 신궁·패스파인더처럼 보스에서 특출난 직업도, 사냥 맵 커버리지에서 한계를 보일 때가 많습니다. 직선맵 아니면 답답하죠.
“그래서 직업 뭐 키우라구요?” 사냥만 보면 SS/S에서 고르는 게 정답에 가깝고, 보스 겸업이면 S/A에서 취향대로.
실수담: 이렇게 했다가 손목 나갈 뻔…
- 설치기 없는 직업으로 3층 굴곡맵을 고집했습니다. 결과? 20분 만에 손목 파스 붙임. 맵과 직업의 상성, 무시하지 마세요.
- ‘한 바퀴 루틴’ 욕심이 과하면 오히려 누수가 생깁니다. 두 바퀴로 쪼개면 경험치가 늘어나는 기적? 사냥은 심플·반복이 이깁니다.
보스 기준과 사냥 기준의 타협: 겸업 추천 리스트
“하나로 다 해먹고 싶다” 파티장을 위한 제 선택은 이렇습니다.
- 카데나, 칼리, 에반: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습니다. 손이 바쁘다는 전제만 수용하면요.
- 제로, 제논, 아크, 데몬어벤져: 세팅 부담 대비 효율 좋고, 장시간 플레이에서 멘탈이 덜 닳아요.
- 보우마스터, 다크나이트: 팀 유틸 + 안정감. 고점이 아니더라도 실전 강합니다.
미세팁 모음: 알고 나면 10% 빨라지는 사냥 습관
- ‘룬’은 즉시 먹지 말고, 젠 템포가 느려졌을 때 먹어 폭발력을 극대화하세요.
- 이벤트 버프는 “사냥 루틴 안정화 → 버프 ON” 순서가 효율적. 반대로 하면 버프 절반을 동선 실험에 날립니다.
- 보조무기 잠재에서 ‘획득 경험치’ 옵션은 누적 시간 플레이일수록 가치가 커집니다. 단기 세션이면 크확/뎀 유리.
- 유니온 공격대 배치는 “뎀증/크뎀/메획” 고정, 남는 칸에 방어력 무시보다 크확 우선. 잡몹 처리엔 과투자 금물.
자주 묻는 질문(FAQ)
Q. 제자리 사냥 1티어만 골라주세요.
A. 아크메이지(썬,콜), 메르세데스, 에반, 일리움, 윈드브레이커를 추천합니다. 설치기·지속기·맵 커버가 핵심입니다.
Q. 무자본이 가성비로 순위 올리려면?
A. 데몬어벤져, 배틀메이지, 메르세데스가 안정적입니다. 레지스탕스 계열을 묶어 키우면 링크/유니온 시너지가 좋아요.
Q. 보스 기준에서 상위인데 왜 사냥 티어가 낮나요?
A. 사냥은 ‘지속 딜’과 ‘맵 커버리지’가 전부입니다. 신궁·패스파인더처럼 보스에 강한 직업도, 사냥 맵에선 빈 공간이 생기면 손해가 커요.
Q. 아란/아크/히어로 같은 전사 라인은 어떤가요?
A. 아란은 콤보 숙련도에 따라 체감이 크게 바뀌고, 아크는 연계가 익숙해지면 강해집니다. 히어로는 무난하지만 피로도 관리가 필요해요.
Q. 엔젤·위자드(플레임위자드)·와일드(와일드헌터)는?
A. 엔젤릭버스터와 플레임위자드는 쿨 구조가 사냥에서 템포를 끊는 편이고, 와일드헌터는 맵 상성에 민감합니다. 애정이 있다면 충분히 커버 가능!
독자 QnA 쇼트 대화
-
독자: “섀도어 사냥 별로라던데요?”
필자: “맵 상성 탑니다. 좁고 끊어진 맵에선 강하고, 광활한 맵에선 동선이 길어져요. A티어 준 이유가 그거예요.” -
독자: “레지스탕스 중 최애는?”
필자: “배틀메이지. 오라 켜놓고 템포 유지가 좋아서 장시간 사냥에 멘탈이 덜 닳아요. 메카닉은 맵 따라 천국/지옥이 갈립니다.” -
독자: “데몬 슬레이어는 왜 C?”
필자: “게이지·쿨 구조가 사냥에서 리듬을 자주 끊어요. 보스에선 장점이 살아나는데, 사냥은 냉정합니다.”
마무리: 결국 ‘내 손에 맞는 직업’이 최강
티어표는 방향이지 절대 진리가 아닙니다. 저도 ‘순위 낮다’ 소리 듣던 직업으로 유니온 절반을 올렸어요. 중요한 건 내 손에 맞고, 내가 오래 버틸 수 있는가. 그럼에도 사냥 기준으로 편하고 빠른 길을 찾는다면, 오늘의 SS/S에서 고르세요. 피로도가 낮을수록 레벨은 결국 “시간과 함께” 올라갑니다. 이게 메이플의 진실.
이 글을 보고 “아, 이 직업 나랑 맞겠다” 싶은 느낌이 왔다면 성공입니다. 혹시 고민된다면 댓글로 질문 주세요. 맵 스샷 주시면 동선도 ‘사람 말투’로 같이 짜드립니다. 끝!

게임교수
게임의 흐름과 트렌드를 쉽게 알려드립니다.